서울역에서 기차를 탈 시간이 여유 있게 남았다면 구서울역이 지금은 문화역서울284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답니다.
서울역 근처 가볼만한곳으로 잠깐 방문해도 좋을 것 같아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 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기획전시기가 진행중입니다.
공예행 : 골골샅샅, 면면촌촌 입니다.
진행은 3월 3일까지 진행되는 전시랍니다.
입장시간은 11:00 - 19:00 입니다.
총 7개의 각 공간에서는 지역별로 발전한 전통공예의 가치와 변화된 시대속에서 재해석된 작품들 입니다.
문화역서울284는 지하철1호선 서울역 2번 출구를 이용하시면 가장 가깝습니다.
3등 대합실은 현재 장터가 진행중에 있습니다. 각 지역의 특색을 담아낸 전통 공예와 현대가 만나서 재해석 작품들로 가득하지요.
중앙홀 | 1,2등 대합실 | 부인대합실 | 귀빈예비실 | 역장실 | 귀빈실 | 귀빈실 안쪽 이렇게 7개의 공간이 있습니다.
29명의 공예가가 68점의 공예품이 전시되어 있답니다.
중앙홀에는 푸른 여명, 한얀대지 라는 만찬 이현정, 여백의 쪽빛 정관채가 전시되어 있어요. 전남나주, 푸른 여명을 표현한 쪽빛 스펙트러은 국가무형문화제 115호 염색장 정관채 님의 작품이라고 합니다.
1,2등대합실은 서편의바람이 진행중에 있어요. 박희영, 함은숙, 홍연화. 전보경, 황아람, 김지용 의 6명의 작품들이 있어요. 서해안, 전라도, 온화하고 습한 한반도 서해안, 전라도 지역에는 섬유질 식물이 많이 있다고해요. 직조 공예 작품들이 멋집니다.
바로 옆에 위치한 부인대합실의 경우에는 신촌리의 윤슬이 진행됩니다. 고용석 작가로, 신촌리 제주도 동쪽 바닷가에 위치한 마음로, 지금의 작품처럼 일렁이는 파도가 햇살에 비치며 생기는 아름다운 윤슬ㅇ르 백자에 담았답니다. 옆에 보시면 은은한 색감은 바다의 빛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귀빈예비실에서는 남가람 물가에 앉아 라는 주제로 양웅걸, 이정훈, 편소정, 한동엽 작가의 작품들인데, 뼈대가 있는 곳에 작품들이 전시되어있는게 신기하기만 합니다. 경남 진주의 풍부한 목재와 양반들의 수요가 많아서 이곳은 조선 소목가구들이 많죠. 소반을 주제로 다른 작품들을 보실 수있답니다.
건너편의 역장실에는 탐라의 전설이라는 주제로 강승철, 박소연, 양웅걸, 정미선 작가의 작품들이 있어요. 제주라는 화려한 자연환경과는 달리 제주의 경우에는 척박한 음식이 있답니다. 그 가운데 가족을 위해서 음식을 준비했던 풍경을 담았답니다.
마지막으로 귀빈실인데 그 공간안은 화려하고 귀빈실이라는 이유를 알 것 같아요. 팔영산의 달빛일는 주제로 김수현, 김진규, 강준경, 최보람 작각의 작품들이 4점 보입니다. 전남 고흥, 덤벙 분청을 꽃피웠던 곳에서 도공들의 피어나는 이야기를 둥근 달에 비유했죠. 단아한 달항아리의 작품들이 있어요.
귀빈실 안쪽에는 사임당의 색실 이라는 주제로 이상영 작가의 작품들을 마지막으로 보실 수 있어요. 강릉에서 섬유를 소재로 한 전통 자수와 기계자수 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모빌처럼 꾸며져 있답니다.
2층으로 올라기시면 외편에도 전시공간이있고, 제가 갔을때는 준비중이라서 출입을 할 수 없었습니다. 정면과 오른편에는 작은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에는 이곳에서 나온 서울역의 건축 기법을 보실 수 있어요. 붉은벽돌부터 다양한 건물에서 수집한 유물들이 있어요.
서울여행 서울역주변 명동성당 숭례문 서울로717 문화역서울284
오늘의 코스 명동성당 ➞ 숭례문 ➞ 서울로7017 ➞ 문화역서울284 ✅ 명동성당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74 (명동2가) ✔️ 착공 1892년 5월 8일 (132주년) ✔️ 완공 1898년 5월 29일 ✔️
geonypapa.blogspot.com
네이처파크 대구 아이랑 가볼만한 곳 (0) | 2025.04.02 |
---|---|
명동 가볼만한곳 명동성당 Myeong-dong Cathedral (0) | 2025.03.31 |
사명대사유적지관광단지 생가지 연꽃타워놀이터 대형놀이터 (0) | 2025.03.24 |
밀양 MY 아리나 드림 페스티벌 아이랑 가볼만한 축제 (0) | 2025.03.23 |
행복안의 봄날 센터 작은도서관 아이랑 책읽기 좋은 곳 (0) | 2025.03.22 |